언리얼엔진과 퀵셀 메가스캔스를 이용한 랜드스케이프 제작
퀵셀 메가스캔스 머티리얼과 언리얼 엔진 랜
드스케이프 스컬프팅, 랜드스케이프 페인트를
이용해 작은 지형 제작해보기.
언리얼 엔진을 이용해 사각형 틀 속 작은 크기로 한정된 맵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지형 제작하기
언리얼 엔진을 처음 시작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땅을 새로 만들 것이므로 이름이 floor로 지정된 오브젝트를 지워주고 시작했다.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를 선택하면 해당 모드로 전환된다.
랜드스케이프를 생성해야하는데, 기본으로 설정된 랜드스케이프의 스케일 값은 x,y가 각각 100이다. 왼쪽 레이아웃에서 스케일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작은 맵을 만들어볼 생각이기때문에 스케일 값을 10으로 줄여주었다. 생성 버튼을 눌러주면 랜드스케이프를 편집할 수 있는 랜드스케이프가 나타난다.
랜드스케이프를 생성하면 위와 같이 스컬프팅 툴 등을 이용한 지형의 편집이 가능하다. 스컬프팅 메뉴의 왼쪽 레이아웃 첫 번째 칸에서는 툴을 선택할 수 있고, 두 번째 칸에는 선택과 복사, 세 번째 칸에는 툴의 세기와 모양 및 반경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스컬프팅과 노이즈 툴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위 지형을 만들어보았다. 기본적으로 좌클릭을 하면 지형이 위로 솟구치고 Shift를 누른상태에서 클릭을 하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머티리얼 입히기
단일 머티리얼을 지형에 입히고 싶다면 콘텐츠 브라우저의 머티리얼을 오른쪽 디테일 패널에 있는 랜드스케이프 머티리얼에 끌어다놓으면 된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스타터 콘텐츠에 있는 잔디 재질을 입혀보았다. 참고로 랜드스케이프에 형성돼있는 격자무늬의 선은 라이팅을 다시 빌드하면 없어진다.
랜드스케이프 페인트
여러가지 머티리얼을 브러쉬로 칠하듯이 입히려면 랜드스케이프 페인트 기능을 사용해야한다.
퀵셀 브릿지를 이용하여 메가스캔스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머티리얼 두 가지를 임포트해왔다. 하나는 잔디, 다른 하나는 돌이 포함된 토양으로 가져왔다. 이 두가지 머티리얼을 섞어서 랜드스케이프에 칠해줄 것이다. 브릿지에서 머티얼을 내보내기하면 현재 열려있는 프로젝트로 텍스처를 바로 가져올 수 있다.
먼저 랜드스케이프에 입힐 머티리얼을 새로 만들어주어야하는데, Landscape 폴더와 그 안에 Material 폴더를 새로 만들어 머티리얼을 추가했다.

새로 만든 머티리얼을 더블 클릭하면 편집 창이 열리는데, 여기에 브릿지를 통해 가져온 메가스캔스 텍스처맵을 드래그해서 넣어준다. 두 머티리얼 모두 각각 Albedo, Displacement, Normal, Roughness맵으로 이루어져있다.
UV좌표를 지정해주는 노드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우클릭을 눌러 Landscape Layer Coords를 검색하여 노드를 삽입한다.
이미지와 같이 Landscape Layer Coords 노드의 핀을 각 텍스처맵의 UVs에 연결해준다.
다음으로 두 머티리얼을 섞어줄 Layer Blend 노드를 추가한다. 디테일 패널에서 머티리얼의 개수만큼 엘리먼트를 추가해준다.
구별하기 쉽도록 추가한 엘리먼트들의 이름을 머티리얼과 동일하게 변경해주었다.
각 노드는 Ctrl+C,V로 복사, 붙여넣기 할 수 있다. Layer Blend 노드를 텍스처맵 종류의 수만큼 복제해준다. 그리고 텍스처맵의 RGB값을 Layer Blend 노드의 상응하는 핀에 연결해준다.
이제 블렌드된 레이어를 최종 머티리얼 노드에 연결해주어야 하는데, 나는 Albedo맵을 베이스 컬러에, Roughness맵을 러프니스에, Normal맵을 Normal에 연결해주었다. (Displacement맵을 스페큘러에 연결해주었는데 잘못 연결했다. Bump에 해당하는 맵인것 같은데 어떻게 연결하는지 알아보고 다시 업데이트해야겠다.)
Metalic의 경우에는 불필요하기때문에 0값을 넣어주었다. 숫자 1을 누르고 마우스 좌클릭을 하면 숫자값을 넣을 수 있는 노드가 생긴다.
저장을 해주면 페인트가 가능한 머티리얼이 완성된다. 이제 제작된 머티리얼을 랜드스케이프 머티리얼에 넣어준다. 이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바꾸면, 타깃 레이어에 두 머티리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 아이콘을 클릭하면 레이어의 웨이트 블렌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웨이트 블렌딩되지 않은 레이어를 선택하면 레이어를 칠했을때 기존 레이어 위에 덮여지는게 아니라 대체되는 것 같다.
레이어를 우클릭해서 '레이어 채우기'를 클릭하면 해당 레이어의 머티리얼을 기본적으로 랜드스케이프에 채워준다.
칠해진 머티리얼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머티리얼 편집창으로 돌아와 Landscape Coords 노드를 선택해서 매핑 스케일을 조절할 수 있다. 스케일 값은 배로 조정된다.
이제 페인트 툴을 이용해서 두가지 머티리얼을 랜드스케이프에 자연스럽게 블렌드해서 칠해줄 수 있다! 컴퓨터 사양을 생각해서 메가스캔스 머티리얼을 2K로 가져왔더니 해상도가 좋진 못하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중인 포스팅입니다.)
아래 라벨을 통해 관련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