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ot 엔진 프로젝트 루트 노드 만들고 2D 배경 추가하기

'Nova Doumus'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했다. 간단한 2D 게임을 만들어 보겠다.


Godot 엔진 실행 화면
Godot 엔진 실행 화면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인다.


Godot 엔진 뷰포트
Godot 엔진 뷰포트

상단에서 뷰포트를 변경할 수 있다.


루트 노드 추가하기

첫 번째로 게임의 기본 장면(Scene)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고도 엔진에서 '노드(Node)'는 오브젝트나 기능을 구현하는 기본 단위로, 이를 통해서 장면을 만들 수 있다. 각 노드의 뿌리가 되는 노드를 '루트 노드(Root Node)'라고 한다.


씬 패널 '+ 버튼'으로 루트 노드 만들기
씬 패널 '+ 버튼'으로 루트 노드 만들기

화면 왼쪽 씬 패널의 '+'버튼을 눌러 'CanvasItem'탭에서 'Node2D'를 클릭해서 루트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씬 패널에서 루트 노드 만들기
씬 패널에서 루트 노드 만들기

또는 씬 패널에서 바로 '2D씬' 버튼을 클릭해서 2D 씬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2D 루트 노드
생성된 2D 루트 노드

노드를 생성하면 씬 패널에 'Node2D'라는 이름으로 노드가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루트 노드 이름 변경
루트 노드 이름 변경

루트 노드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해주었다. 이제 루트 노드 아래에 게임의 배경이 되는 노드를 추가해야 한다.


배경 노드 추가하기

씬 패널에서 자식 노드 추가
씬 패널에서 자식 노드 추가

'Main'노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버튼을 클릭하거나, 'Main'노드를 우클릭해서 '자식 노드 추가' 버튼을 찾을 수 있다.


Sprite2D 노드
Sprite2D 노드

배경 노드를 추가하려면 'Sprite2D'라는 노드를 추가해야 한다. '스프라이트(Sprite)'는 배경이나 캐릭터처럼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노드이다. 검색창에 Sprite을 입력하면 해당 노드를 찾을 수 있다.


추가된 Sprite2D 노드
추가된 Sprite2D 노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씬 패널에서 추가된 'Sprite2D'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된 Sprite2D 노드
추가된 Sprite2D 노드

추후 다른 스프라이트 노드와 구분을 위해 'Background Sprite'로 이름을 변경해주었다.


Background Sprite의 인스펙터
Background Sprite의 인스펙터

배경 스프라이트 노드를 클릭하면 우측 인스펙터 패널에서 해당 노드의 각종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Background Sprite의 인스펙터
Background Sprite의 인스펙터

Background Sprite의 인스펙터를 보면 'Texture'란이 비어있는데, 텍스처에 이미지를 불러오면 배경을 생성할 수 있다. 일단 지금은 단색 배경을 넣어보겠다. 'Texture' 목록을 열어보면 여러 텍스처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데, 여기서는 '새 CanvasTexture'를 선택한다.


뷰포트에 추가된 텍스처 이미지
뷰포트에 추가된 텍스처 이미지

뷰포트 중앙에 텍스처 이미지가 작게 생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빨간 점을 클릭해 드래그 하거나 인스펙터 패널에서 Scale을 찾아 값을 높이면 이미지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


뷰포트에 추가된 텍스처 이미지
뷰포트에 추가된 텍스처 이미지

인스펙터 패널의 'CanvasItem'탭에서 'Visibility'를 확장하면 'Modulate'란이 있는데, 옆에 하얀 박스를 클릭하면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체 화면으로 현재 시간 보여주는 웹 시계 사이트 Bonfire Clock

블렌더 3D 카툰 렌더링으로 웹툰 배경 만들기

블렌더 3D에서 침대 모델링하는 방법